맨위로가기

네무로 본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무로 본선은 홋카이도 여객철도(JR 홋카이도)가 다키카와역에서 네무로역까지, 일본화물철도(JR 화물)가 일부 구간을 관할하는 철도 노선이다. 1067mm 궤간의 단선 비전철 노선으로, 다키카와-오비히로-네무로 구간은 326.1km에 달하며, 세키쇼 선과 중복되는 구간도 있다. 과거에는 홋카이도 내 주요 도시를 연결하는 간선 역할을 했으나, 세키쇼 선 개통 이후 운행 계통이 변경되면서 다키카와-신토쿠 구간은 지역 노선으로 변경되었다. 2024년 4월 1일에는 후라노역-신토쿠역 구간이 폐지되었다. 이 노선은 에조 사슴과의 충돌로 인한 운행 지연이 잦으며, 지역 인구 감소와 태풍 피해 등으로 인해 노선 유지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01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안할트 근교선
    안할트 근교선은 19세기 말 베를린 남부 지역의 인구 증가와 함께 건설되어 20세기 초 베를린 S반의 일부로 편입되었으나 독일 분단 시기 단절되었다가 독일 재통일 이후 복원되어 현재 베를린 S반 노선으로 운행 중인 철도 노선이다.
  • 1901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지치부 철도 지치부 본선
    지치부 철도 지치부 본선은 사이타마현 하뉴역에서 미쓰미네구치역까지 71.7km를 운행하는 노선으로, 단선, 1,067mm 궤간, 직류 1,500V로 전철화되어 급행 및 보통 열차, 관광 열차 등을 운행하며, 여객 및 화물 수송을 담당하지만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 1899년 개통한 철도 노선 - 고토쿠선
    고토쿠선은 일본 시코쿠 여객철도가 운영하는 철도 노선으로, 다카마쓰역과 도쿠시마역을 연결하며, 특급 열차 우즈시오와 보통 열차가 운행된다.
  • 1899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도쿠시마선
    도쿠시마선은 시코쿠 여객철도가 도쿠시마현에서 운영하는 67.5km의 비전철화 단선 철도 노선으로, 1899년 개통 이후 국유화, 노선명칭 변경, 연장 등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특급열차 '켄잔'과 일반 여객열차가 운행되고, 코로나19 이후 이용객 수가 회복세에 있지만 지속적인 영업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 홋카이도 여객철도의 철도 노선 - 삿쇼선
    삿쇼선은 홋카이도 여객철도가 운영하는 28.9km의 협궤 철도 노선으로, '가쿠엔토시선'이라는 별칭으로도 불리며, 2020년 구간 폐선 이후 현재는 삿포로역에서 홋카이도의료대학역 구간만 운영되고, 일부 구간은 복선 전철화되어 다양한 전동차가 운행된다.
  • 홋카이도 여객철도의 철도 노선 - 홋카이도 신칸센
    홋카이도 신칸센은 신아오모리역에서 신하코다테호쿠토역을 잇는 노선으로 2016년 개통되었고, 2031년 삿포로역까지 연장될 예정이며, E5계, H5계 전동차를 사용하고, 겨울철 폭설과 지진에 대비한 설비를 갖추고 있다.
네무로 본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다이세이와 메무로 사이를 운행하는 KiHa 261-1000 시리즈 DMU
다이세이와 메무로 사이를 운행하는 KiHa 261-1000 시리즈 DMU
노선 종류지역 철도
노선 상태운행 중
노선 위치홋카이도
기점다키카와역
종점네무로역
역 수59개
개업1901년
폐지2024년 4월 1일 (후라노역신토쿠역)
소유주홋카이도 여객철도(JR 홋카이도)
운영자홋카이도 여객철도
노선 특징지방 노선
차량기지구시로
사용 차량KiHa 261계 기동차 DMU
KiHa 40계 기동차 DMU
KiHa 54계 DMU
H100계 기동차 DEMU
노선 길이443.8km
선로 길이해당사항 없음
선로 수전 구간 단선
궤간1,067mm
전철화 여부비전철
최대 속도120km/h
JR 네무로 본선 노선도
JR 네무로 본선 노선도
노선 정보 (일본어)
노선 명칭[[파일:JR logo (hokkaido).svg|35px|link=홋카이도 여객철도]] 네무로 본선
노선 색상'#8cc63e'
노선 색상 2'#f6989d'
통칭하나사키선(구시로역 - 네무로역 간)
전보 약호네무호세
노선 기호'(다키카와역)'
'(히가시타키카와역 - 후라노역 간)'
'(신토쿠역 - 구시로역 간)'
'(히가시쿠시로역)'
개업일'1900년 12월 2일 (홋카이도 관설 철도 도카치선)
1901년 7월 20일 (홋카이도 관설 철도 구시로선)'
폐지일 (일부)2024년 4월 1일 (후라노 - 신토쿠 간)
사업자홋카이도 여객철도(JR 홋카이도) (전선 제1종 철도 사업자)
일본화물철도(JR 화물) (전선 제2종 철도 사업자)
노선 거리362.1km
폐색 방식자동 폐색식(다키카와역 - 후라노역, 신토쿠역 - 히가시구시로역 간)
특수 자동 폐색식(전자 부호 대사식)(히가시구시로 - 네무로 간)
보안 장치ATS-DN
최고 속도120km/h (신토쿠역 - 구시로역 간)
95km/h (다키카와역 - 후라노역 간)
85km/h (구시로역 - 아쓰기시 간)
80km/h (아쓰기시역 - 네무로역 간)
참고
병기
Google Map

2. 노선 정보


가미오치아이 신호장 - 신토쿠 구간(23.9km)은 세키쇼 선과 중복

3. 역사

1896년 홋카이도 철도 부설법에 의해 홋카이도 내 철도 정비 계획이 수립되자, 홋카이도 청 장관 기타가키 구니미치는 도쿄 제국 대학 교수였던 다나베 사쿠오에게 노선 선정을 위한 조사를 의뢰하였다. 다나베는 홋카이도청 철도부설부장에 부임해 답사를 수행했다.

그는 곰이나 늑대가 돌아다니는 원시림이나 모기, 등에 등이 넘쳐나는 습지 등 미개척지를 도보로 이동하면서 지형, 지질, 경제 효과, 자재의 운반 및 입수 방법 등 세부에 걸쳐서 구시로까지 구간을 20일간 답사했다.

당초는 사호로 산 북쪽을 최적 루트로 검토하고 있었으나 답사 결과, 현재의 국도 38호선을 거의 따라가는 구 가리카치터널 루트를 최적안으로 제시하였고, 다나베는 이곳을 「가리카치 고개」라고 이름 붙였다.

노선이 결정되자, 홋카이도 관립 철도가 아사히카와와 구시로를 연결하는 간선철도로서 착공, 아사히카와와 구시로 양 방향에서 공사가 시작되었다. 1907년 가리카치 터널이 완공되어 가리카치 고개를 포함한 오치아이 - 오비히로 간이 개업하면서 아사히카와 - 구시로 간 전 노선이 완공, 구시로선이 되었다.

1913년에는 다키카와 - 시모후라노 (현재의 후라노역) 간에 신선이 놓이면서 기점을 아사히카와에서 다키카와로 변경하였고, 아사히카와 - 후라노 간은 후라노선으로 분리되었다.

이후 구시로 동쪽으로 노선 연장이 진행되어 1921년에 네무로까지 연장을 완료하고 동시에 선로 명칭을 네무로 본선으로 고쳤다.

1981년에는 단축 루트인 세키쇼 선이 개업하면서, 도앙에서 도카치, 구시로를 연결하는 대부분의 열차 운전 계통이 종래의 다키카와 경유에서 세키쇼 선 경유로 변경되었다. 이로 인해 네무로 본선에선 신카리카치 터널 이북을 통과하는 우등 열차가 거의 없어졌다.

1997년에는 구시로 시와 오비히로 시의 출자로 도동 고속 철도 개발(현재의 홋카이도 고속 철도 개발의 전신)이 설립되어 세키쇼 선과 네무로 본선 신카리카치 터널 - 구시로역 구간의 고속화 개량 사업이 실시되었다.

최근에는 2024년 4월 1일부로 후라노역 - 신토쿠역 구간이 폐선되었다.

자세한 연혁은 다음과 같다.

년도월일사건
1901년7월 20일홋카이도 관설 철도 구시로 선 구시로(이후 하마쿠시로로 변경) - 시라누카 구간 개통, 시라누카 · 쇼로 · 오타노시케 · 구시로 역 신설[23]
1903년3월 1일시라누카 - 온베쓰 구간 개통, 온베쓰 역 신설[23]
12월 25일온베쓰 - 우라호로 구간 개통, 우라호로 역 · 아쓰나이 역 신설[23]
1904년8월 12일우라호로 - 도요코로 구간 개통, 도요코로 역 신설[23]
12월 15일도요코로 - 도시베쓰 구간 개통, 도시베쓰 · 이케다 역 신설[23]
1905년4월 1일관설 철도에 이관[23]
12월 1일도시베쓰 - 오비히로 구간 개통, 오비히로 역 · 야무왓카 역 신설.[23]
1907년9월 8일오치아이 - 오비히로 구간 개통에 의해 아사히카와 - 구시로 전 구간 개통, 가리카치 급수 석탄 공급소 · 니나이(여객, 화물 취급하지 않음) · 신토쿠 · 시미즈 · 사넨고로 · 메무로 · 후시코 등 각 역 신설.[23]
10월 25일나오베쓰 역 신설[23]
1909년10월 12일국유 철도 선로 명칭 설정에 의해 아사히카와 - 구시로 구간이 구시로 선이 됨.[23]
12월 15일니나이 역에서 여객 화물 취급 개시[23]
1910년1월 7일사쓰나이 역 · 시타코로베 역 신설[23]
12월 1일가미아쓰나이 신호소 · 나미와카 신호소 신설[23]
1911년7월 1일하코다테 - 구시로 간 3·4량 열차에 일등 침대차 연결 개시, 열차 전등 · 관통 브레이크 사용 개시[23]
12월 15일도후쓰 역 신설.[23]
1913년10월 1일시모가나야마 역 신설[23]
11월 10일다키카와 역 - 시모후라노 역 구간 (57.6km) 개통. 호로쿠라 · 가미아카비라 · 히라기시 · 시모아시베쓰 · 노카난 · 뽄모시리 · 시마노시타의 각 역 신설. 다키카와 - 구시로 구간을 구시로 본선이라고 개칭하여, 시모후라노 - 아사히카와 구간을 후라노선으로서 분리[23]
1916년4월 1일하코다테 - 구시로 구간 1·2량 열차에 식당차 연결 개시.[23]
1917년12월 1일구시로 - 앗케시 구간을 연신 개통. 구시로 - 하마쿠시로(1.8km) 및, 앗케시 - 하마앗케시 (1.2km) 구간 화물 철도 개업,
1918년12월 28일모시리(화물) 역 신설[23]
1919년11월 25일앗케시 - 앗토코 구간 (42.9km) 연신 개통. 이토이자와 · 자나이 · 하마나카 · 아네베쓰 · 앗토코 역 신설[23]
1920년1월 16일가미아시베쓰 역 신설[23]
4월 1일샤쿠베쓰(화물) 역 신설[23]
11월 10일앗토코 - 니시와다 구간 (34.7km) 개통. 핫타우시 · 벳토가 · 오치이시 · 니시와다의 각 역 신설.[23]
1921년8월 5일니시와다 - 네무로 구간 (102.km) 개통에 의해 전 구간, 하나사키 · 네무로 역 신설. 다키카와 - 네무로 전 구간을 네무로 본선으로 노선 명칭 변경.[23]
1922년4월 1일가리카치 급수 석탄 공급소를 신호장에, 가미아쓰나이 신호소 · 나미와카(폐지 시기 불명) 신호소를 신호장으로 변경[23]
10월 15일사넨고로 역을 미카게 역으로 역 명 변경.[23]
1923년9월 23일구시로 - 텐넨 간 화물선 (3.0km) 개통, 텐넨(화물) 역 신설.[23]
12월 25일신후지 역 신설[23]
1925년3월 16일센모 선과의 분기점으로서 벳포 신호소를 신설[23]
1926년7월 15일모시리(화물) 역을 일반역으로 변경.[23]
8월 1일가미아쓰나이 신호장을 역으로 승격.[23]
1927년12월 26일누노베 역 신설[23]
1928년11월 11일벳포 신호장을 역으로 승격하고 역명을 히가시쿠시로 역으로 변경.[23]
1930년4월 1일샤쿠베쓰(화물) 역을 일반역으로 변경[23]
1934년8월 12일네무로 - 네무로 항 구간 (1.2km) 화물 지선 개통. 네무로 항 화물역 신설.[23]
11월 20일시미즈 역을 도카치시미즈 역으로 역명 변경.[23]
1935년2월앗케시 역에 입환용 기관차 DB10형 기관차를 배치.[23]
1940년1월 15일구시로 - 텐넨 구간 화물 지선의 기점을 히가시쿠시로 역으로 변경 (-1.5km), 이 때 텐넨 역은 히가시쿠시로 역 북쪽에서 자이모쿠쵸로 이전한 것으로 보인다.[23]
10월 10일하코다테 - 구시로 구간에 급행 열차 1회 왕복 설정 (구시로 - 네무로 구간 보통 열차)[23]
1941년3월 28일니시쇼로 신호소 신설[23]
12월 29일히가시시카고에 신호장 신설[23]
1942년4월 1일시모후라노 역을 후라노 역으로, 시모고로베 역을 신요시노 역으로 변경.[23]
1943년6월 15일가미아카 역을 아카비라 역으로 변경.[23]
1946년3월 1일히가시시카고에 신호장을 역으로 변경.[23]
5월 1일시모아시베쓰 역을 아시베쓰 역으로, 뽄모시리 역을 다키사토 역으로 변경.[23]
1952년3월 5일니시쇼로 신호장을 역으로 변경.[23]
11월 15일가미벳포 역을 벳포 역으로 변경.[23]
1954년7월 1일후루세 신호장 신설.[23]
11월 10일호로쿠라 역을 히가시타키카와 역으로, 후시코 역을 니시오비히로 역으로 변경.[23]
1955년12월 1일오비히로 - 네무로 구간 동차 운행 개시.[23]
1956년5월 20일급행 마리모 삼등 침대차 부활.[23]
1958년9월 10일하오비 역 신설.[23]
1959년9월 22일구시로 - 네무로 구간 준 급행 노삿푸 신설.[23]
10월 7일이나시베쓰 가승강장 신설.[23]
1961년2월 1일곤부모리 역 신설.[23]
9월 1일히가시네무로 역 신설.[23]
10월 1일이치노사카 신호장 신설.[23]
1962년9월 30일호로오카 신호장 · 다카네 신호장 신설.[23]
10월 1일특급 오조라 구시로까지 연장.[23]
10월 15일구시로 - 하마쿠시로를 킬로 개정. (+2.0km)(실태는 하마쿠시로 역 이전에 의한 철도의 새 선로 개업).[23]
1963년11월 1일야무왓카 역을 마쿠베쓰 역으로 역 명 변경.[23]
1964년10월 1일하코다테 - 구시로 구간에 특급 오토리 신설.[23]
1965년9월 30일히라노가와 신호장 · 쓰네토요 신호장 신설.[23]
10월 1일네무로 - 네무로 항 구간의 화물 지선 폐지. 네무로 항 화물역 폐지.[23]
1966년3월 27일구시로 기관구에 DD51형을 처음으로 배치[23]
9월 27일쇼에이 신호장 · 히가시쇼로 신호장 신설.[23]
9월 29일시카고에 역을 신호장으로 변경. (가나야마 댐 건설로 인해 선로 이설)[23]
9월 30일오치아이 - 신토쿠 구간의 새 선로 개통 (28.1km), 가미오치아이 · 신카리카치 · 히로우치 · 니시신토쿠 · 가미메무로 · 쓰네토요의 각 신호장 신설.[23]
1966년10월 1일오치아이 - 신토쿠 구간의 구 선로 폐지. 니나이 역 · 가리카치 신호장 폐지.[23]
1969년4월 1일후라노 - 구시로 구간 디젤 기관차화 달성.[23]
1971년5월 1일구시로 - 도쿄 구간에 냉장 컨테이너 급행 열차 운행 개시.[23]
1982년10월 15일다카네 신호장 폐지.[23]
10월 25일시카고에 신호장을 임시 승강장으로 변경.[23]
1982년11월 15일앗케시 - 하마앗케시 구간의 화물 지선 폐지. 하마앗케시 화물역 폐지.[23]
1983년2월 15일다키카와 - 오치아이 간 CTC 사용 개시.[23]
1984년2월 1일히가시쿠시로 - 텐넨 구간의 화물 지선 폐지. 텐넨 화물역 폐지. 히가시쿠시로 - 네무로 구간 화물 영업 폐지. 이치노사카, 호로오카, 다카네의 각 신호장 폐지.[23]
1986년11월 1일다이세이 임시 승강장, 하쿠린다이 임시 승강장 신설. 시카고에 임시 승강장 폐지.[23]
1987년4월 1일국철 민영 분할화에 따라, 홋카이도 여객철도가 노선을 승계함. 다키카와 - 네무로 구간(제1종 철도 사업) , 일본화물철도 (제1종) 구시로 - 하마쿠시로 구간, (제2종) 다키카와 - 후라노 구간, 히가시시카고에 - 히가시쿠시로 구간, 후라노 - 히가시시카고에 구간의 화물영업 폐지, 다이세이 · 하쿠린다이의 각 임시 승강장을 역으로, 이나시베쓰 가 승강장을 역으로, 후루세 신호장을 역으로 변경.[23]
1988년3월 13일무사 역 신설[23]
11월 3일신오타노시케 역 신설[23]
1989년8월 1일구시로 - 하마쿠시로 구간의 화물 지선 폐지. 하마쿠시로 역 폐지.[23]
1990년12월 10일아쓰나이 터널 (신 루트) 개통[23]
1991년7월 1일하나사키 선 단독 운행 개시[23]
10월 22일노카난 - 시마노시타 역 구간 킬로 개정. (다키사토 댐 건설에 따른 선로 이설), 다키사토 역 폐지.[23]
1993년3월 18일다키카와 - 구시로 구간 보통 열차 단독 운행 개시.[23]
2001년7월 7일하나사키 선 전 구간 개통 80주년 기념식전[23]
7월 20일시라누카 - 구시로 구간 개통 100주년 기념식전[23]
2002년4월 1일일본화물철도가 구시로 - 히가시쿠시로 구간의 제2종 철도 사업 폐지.[23]
2006년4월 1일일본화물철도가 신후지 - 구시로 구간의 제2종 철도 사업 폐지.[23]
2007년10월 1일다키카와 - 히가시쿠시로 구간에 역 명 넘버링 실시.[23]
2011년3월 12일일본화물철도의 오비히로 역을 오비히로 화물역으로, 같은 신후지 역을 구시로 화물역으로 역 명 변경.[23]
2022년2월 10일후라노 역 ~ 신토쿠 역 구간 폐선 확정[99]
2024년4월 1일후라노 역 ~ 신토쿠 역 구간 폐선.



1966년 10월 1일에는 오치아이 - 신토쿠 간의 카리사토 고개 구간을 신선으로 전환했다. 폐지된 구 선로의 일부는 카리캇치 실험선으로 사용되었다.

역명영업 킬로(역간)영업 킬로(누계)접속 노선소재지
오치아이역0.0일본국유철도: 네무로 본선(후라노 방면)가미카와 지청 소라치 군 미나미후라노정
카리캇치 신호장7.9 
신나이역16.816.8 도카치 지청 가미카와 군 신토쿠정
신토쿠역11.127.9일본국유철도: 네무로 본선(오비히로 방면)


  • 신나이역 부근(카리캇치 고개)는 일본 신8경과 철도성이 선정한 일본 3대 차창 중 하나이기도 했다.
  • 고개는 최대 경사 25‰, 최소 반경 180m의 커브가 연속되는 난소였으며, 고개 바로 오치아이역 쪽에 있는 카리캇치 신호장은 스위치백이었다. 고개 부근의 S자형 급커브 둑길과 교량, 터널 등의 철도 시설군은 2003년에 토목학회 선정 토목 유산으로 선정되었다.
  • 폐지 후 신나이역 - 신토쿠역 구간은 1967년 - 1979년 사이에 철도 사고의 원인 규명 및 그 대책에 관한 실험을 실시하는 카리캇치 실험선으로 사용되었다.

3. 1. 초기 건설과 홋카이도 철도 부설법

1896년(메이지 29년) 5월 14일에 공포된 홋카이도 철도 부설법에 의해 홋카이도 내 1,000(약 1,600km)의 철도 정비가 결정되었고, 홋카이도청 장관인 기타가키 구니미치는 노선 선정을 위해 제국대학 공과대학 교수인 다나베 사쿠로에게 답사를 의뢰했다.[23] 다나베는 제국대학을 나와 홋카이도청 철도 부설 부장으로서 답사에 나섰다.

도카치 노선 답사에서는 수목이 무성하여 시야가 확보되지 않는 여름철을 피하고, 초봄의 굳은 눈이 있는 계절에 2명의 철도 기술자와 수 명의 짐꾼과 함께 아사히카와를 출발했다. 불곰이나 늑대가 활개치는 원시림, 모기, 쇠파리, 벌이 날아다니는 습지 등 미개척지를 걸으며 지형, 지질, 경제 효과, 자재 획득 방법 등 세세한 부분까지 고려하여 구시로까지 20일간 답사를 했다. 당초에는 사호로 산 북쪽이 최적이라고 예상했지만, 답사 결과 현재의 국도 38호선에 거의 인접한 구 카리사토 터널 노선을 최적의 노선으로 결정하고, 다나베는 여기에 "카리사토 고개"라고 명명했다. 이후 다나베가 완성된 철도로 구시로를 방문했을 때, "12시간 동안 정말 지루하셨을 텐데요"라는 위로에 "제가 예전에 이곳에 왔을 때는 20일이나 걸렸습니다. 옛날 일을 생각하면 불과 12시간 만에 이 땅을 통과하는 것은 어딘가 아깝게 느껴집니다"라고 대답했다고 한다.

노선 결정 후, 아사히카와와 구시로를 잇는 간선 철도로서 홋카이도 관설 철도에 의해 아사히카와, 구시로 양쪽에서 착공되었다. 아사히카와 측은 1899년(메이지 32년) 9월 1일아사히카와역 - 비에이역 구간이, 구시로 측은 1901년(메이지 34년) 7월 20일구시로역 - 시라누카역 구간이 개통되었고, 1907년(메이지 40년) 9월 8일에는 카리사토 터널의 완공으로 카리사토 고개를 포함하는 오치아이역 - 오비히로역 구간이 개통되었다. 아사히카와역 - 구시로역 구간이 완전 개통되어 '''구시로선'''이 되었다.

1913년(다이쇼 2년) 11월 10일에 다키가와역 - 시모후라노역(현재의 후라노역) 간의 신선이 개통되어, 기점을 아사히카와역에서 다키가와역으로 변경했다. 노선 명칭은 '''구시로 본선'''이 되었고, 아사히카와역 - 후라노역 간은 '''후라노선'''으로 분리되었다.

이후, 구시로역 이동으로의 연장이 이루어져, 1917년(다이쇼 6년) 12월 1일앗케시역, 1919년(다이쇼 8년) 11월 25일앗토코역, 1920년(다이쇼 9년) 11월 10일니시와다역, 1921년(다이쇼 10년) 8월 5일네무로역까지 연장하여 완전 개통했다. 동시에 노선 명칭을 '''네무로 본선'''으로 개칭했다.

3. 2. 구시로 선 개통과 네무로 본선으로의 변화

1896년 5월 14일에 공포된 홋카이도 철도 부설법에 의해 홋카이도 내 1,000 (약 1,600km)의 철도 정비가 결정되었고, 홋카이도청 장관인 기타가키 구니미치는 노선 선정을 위해 제국대학 공과대학 교수인 다나베 사쿠로에게 답사를 의뢰했다.[23] 다나베는 제국대학을 나와 홋카이도청 철도 부설 부장으로서 답사에 나섰다.

도카치 노선 답사에서는 수목이 무성하여 시야가 확보되지 않는 여름철을 피하고, 초봄의 굳은 눈이 내린 계절에 2명의 철도 기술자와 수 명의 짐꾼과 함께 아사히카와를 출발했다. 불곰이나 늑대가 활개치는 원시림, 모기, 쇠파리, 벌이 날아다니는 습지 등 미개척지를 걸으며 지형, 지질, 경제 효과, 자재 획득 방법 등 세세한 부분까지 고려하여 구시로까지 20일간 답사를 했다. 당초에는 사호로 산 북쪽이 최적이라고 예상했지만, 답사 결과 현재의 국도 38호선에 거의 인접한 구 카리사토 터널 노선을 최적의 노선으로 결정하고, 다나베는 여기에 "카리사토 고개"라고 명명했다. 이후 다나베가 완성된 철도로 구시로를 방문했을 때, "12시간 동안 정말 지루하셨을 텐데요"라는 위로에 "제가 예전에 이곳에 왔을 때는 20일이나 걸렸습니다. 옛날 일을 생각하면 불과 12시간 만에 이 땅을 통과하는 것은 어딘가 아깝게 느껴집니다"라고 대답했다고 한다.

노선 결정 후, 아사히카와와 구시로를 잇는 간선 철도로서 홋카이도 관설 철도에 의해 아사히카와, 구시로 양쪽에서 착공되었다. 아사히카와 측은 1899년 9월 1일아사히카와역 - 비에이역 구간이, 구시로 측은 1901년 7월 20일에 구시로역 - 시라누카역 구간이 개통되었고, 1907년 9월 8일에는 카리사토 터널의 완공으로 카리사토 고개를 포함하는 오치아이역 - 오비히로역 구간이 개통되어 아사히카와역 - 구시로역 구간이 완전 개통되면서 '''구시로선'''이 되었다.

1913년 11월 10일에 다키가와역 - 시모후라노역 (현재의 후라노역) 간의 신선이 개통되어 기점을 아사히카와역에서 다키가와역으로 변경했다. 노선 명칭은 '''구시로 본선'''이 되었고, 아사히카와역 - 후라노역 간은 '''후라노선'''으로 분리되었다.

이후, 구시로역 이동으로의 연장이 이루어져, 1917년 12월 1일앗케시역, 1919년 11월 25일앗토코역, 1920년 11월 10일니시와다역, 1921년 8월 5일에 네무로역까지 연장하여 완전 개통했다. 동시에 노선 명칭을 '''네무로 본선'''으로 개칭했다.

이후 도오와 도토를 잇는 주요 간선으로서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지만, 1966년 10월 1일에 오치아이역 - 신토쿠역 간의 카리사토 고개 구간을 신선으로 전환하고, 1981년 10월 1일에는 단축 노선인 세키쇼선이 개통됨에 따라, 도오와 도카치·구시로를 잇는 대부분의 열차 운전 계통이 기존의 다키가와역 경유에서 세키쇼선 경유로 변경되어 대폭적인 소요 시간 단축이 이루어졌다. 이 변경으로 인해 네무로 본선에서는 신 카리사토 터널 이북을 통과하는 특급 열차는 거의 없어졌다. 1994년 1월 20일에는 구시로시오비히로시의 출자로 "도토 고속 철도 개발" (본사: 삿포로시, 현재의 홋카이도 고속 철도 개발의 전신)이 설립되어, 세키쇼선과 함께 네무로 본선의 신 카리사토 터널 - 구시로역 간의 고속화 개량 사업이 실시되었다. 이 사업은 1997년 3월 22일에 완공되어 삿포로역 - 오비히로역·구시로역 간의 대폭적인 소요 시간 단축을 실현했다.

3. 3. 세키쇼 선 개통과 노선 역할 변화

1981년 세키쇼 선이 개통되면서 홋카이도 중부와 남동부를 잇는 주요 노선이 되었고, 신토쿠 동쪽 역에서 삿포로까지의 거리가 단축되었다. 이로 인해 네무로 본선의 후라노 - 신토쿠 구간 이용객이 급격히 감소하여, 1980년 하루 4,664명에서 1985년 하루 654명으로 줄었다. 이 지역의 인구 감소 또한 이용객 감소에 영향을 주었다. 2015년에는 이 노선 구간을 이용하는 사람이 하루 152명에 불과했는데, 대부분이 고등학생이었다.[8]

1966년 10월 1일에는 오치아이역 - 신토쿠역 간의 카리사토 고개 구간을 신선으로 전환하고, 1981년 10월 1일에는 단축 노선인 세키쇼 선이 개통되면서 도오와 도카치, 구시로를 잇는 대부분의 열차 운행 계통이 기존의 다키카와역 경유에서 세키쇼 선 경유로 변경되어 대폭적인 소요 시간 단축이 이루어졌다. 이로 인해 네무로 본선에서는 신카리카치 터널 이북을 통과하는 우등열차는 거의 없어졌다. 1997년에는 구시로 시와 오비히로 시의 출자로 도동 고속 철도 개발(현재의 홋카이도 고속 철도 개발의 전신)이 설립되어 세키쇼 선과 네무로 본선 신카리카치 터널 - 구시로역 구간의 고속화 개량 사업이 실시되었다.

3. 4. 연혁 (상세)


가미벳포 · 가미오보로 · 오보로 · 몬시즈 · 앗케시 · 하마앗케시(화물) 역 등을 신설.[23]

3. 5. 최근의 변화: 후라노-신토쿠 구간 폐선

세키쇼 선이 신유바리신토쿠 사이에 개통(1981년)되면서 홋카이도 중부와 남동부를 잇는 주요 노선이 되었고, 신토쿠 동쪽 역에서 삿포로까지의 거리가 단축되었다. 이로 인해 네무로 본선의 후라노-신토쿠 구간 이용객은 급격히 감소하여, 1980년 하루 4,664명에서 1985년 하루 654명으로 줄었다. 이 지역의 인구 감소 또한 이용객 감소에 영향을 주었다. 2015년에는 이 노선 구간 이용자가 하루 152명에 불과했는데, 대부분 고등학생이었다.[8]

2016년 8월 31일, 집중 호우히가시-시카고에가미-오치아이 분기점 사이 17.4km 구간이 파손되어 히가시-시카고에에서 신토쿠까지 여객 운송이 버스로 대체되었다.[8] 2016년 11월 19일, JR 홋카이도 사장은 네무로 선 후라노-가미오치아이 분기점 구간 폐선을 포함, 최대 1,237km(현재 노선의 약 50%)를 구조조정할 계획을 발표했다.[9] 2022년 1월, 후라노-신토쿠 사이 4개 지방 자치 단체는 노선 유지 노력을 포기했고, 12월에는 JR 홋카이도 사장이 이 구간을 2023년 또는 그 이후에 버스 운행으로 전환하겠다는 목표를 발표했다.[10] 폐지 통지서는 2023년 3월 31일에 제출되었다.[11][12]

2024년 4월 1일에 폐쇄된 네무로 본선 구간 지도


2023년 3월 6일, JR 홋카이도는 연선 4개 시정촌에 후라노역 - 신토쿠역 구간을 2024년 3월 31일에 폐지하고 다음 해 4월 1일부터 버스로 전환하는 안을 제안했고, 연선 4개 시정촌은 이 안을 용인했다. 3월 30일, JR 홋카이도와 연선 4개 시정촌은 후라노-신토쿠 간 폐지·버스 전환 등에 관한 각서를, 연선 7개 시정촌은 동 구간 폐지·버스 전환 등에 관한 동의서를 체결했고, 다음 날 폐지 신고가 제출되었다. 이로써 JR 홋카이도가 2016년에 "자사 단독으로 유지하기 어려운 노선"을 공표한 이후, "수송 밀도가 200명 미만"인 5개 선구가 모두 폐지·버스 전환되었다. 이 구간 폐지로 신에쓰 본선·도호쿠 본선(2002년 12월 1일~2010년 12월 4일)·가고시마 본선처럼 정비 신칸센 개업에 따른 병행 재래선 부분 폐지나 제3섹터 철도화와 다른 이유로 '본선' 이름이 붙은 JR 노선이 분단되는 첫 사례가 되었다. 다른 철도 사업자에게 이관되지 않고 버스 전환된 폐지 구간으로 분단된 '본선'은 신에쓰 본선에 이은 예이다.

4. 운행 형태

다키카와 - 오치아이 구간은 쾌속 「카리카치」 왕복 2회와 접속하는 쾌속 외에는 각역 정차 보통열차만 운행되며, 배차는 1~3시간에 1대 정도이다. 4시간 정도 운행이 없는 시간대도 있다. 보통 열차 중 왕복 1회는 오치아이역에서 열차를 되돌려 운행한다. 이 구간에서는 후라노선 직통열차를 제외하면 다키카와역이 항상 기점이 되어, 신토쿠오비히로 방면 열차 외에 다키카와역 - 아시베쓰 · 후라노 · 오치아이역 간의 구간 열차가 있다.

신토쿠 - 구시로 구간의 지역 수송은 보통 · 쾌속 열차가 신토쿠 - 오비히로 · 다키카와 - 오비히로오비히로 - 구시로 구간에 운행되며, 아침 저녁 일부 열차를 제외하고는 모두 오비히로역에서 되돌림 운전을 한다. 차량은 보통 직통으로 운행되지만 오비히로역에 20~40분 정차한 후 열차번호가 바뀌는 열차도 있다. 오비히로 · 구시로 주변은 1 ~ 2시간에 1편 정도의 운행 빈도로, 오비히로 권역에서는 메무로 · 이케다 · 우라호로 발착, 구시로 권역에서는 아쓰나이 · 온베츠 · 시라누카 · 오타노시케 발착의 구간 열차도 있다.

다키카와역 - 구시로역 간 직통 열차는 하루에 1왕복 운행하며, 2010년 12월 현재 상행선은 6시간 50분, 하행선은 8시간 2분이 소요된다. 하행선 보통 열차 2429D(다키카와역 9:37 출발 → 구시로역 17:39 도착)는 기동차 보통 열차로는 일본 최장인 308.4km 거리를 운행한다. 이 구간을 운전하는 상행 열차는 오비히로 - 다키카와 구간이 쾌속 「카리카치」가 되는 2522D - 3430D이다. 과거에는 오비히로 - 이케다 구간에 후루사토 긴카선 직통 열차가 설정되어 병결 운행을 했었지만, 2006년 4월 홋카이도 지쿠호 고원철도 후루사토 긴카선 폐지로 중단되었다.

구시로 - 네무로 구간( 하나사키선 )은 구시로 서부 지역과 운전 계통이 완전히 분리되어 있다. 쾌속 왕복 2회(「노삿푸」·「하나사키」) 외에는 보통 열차만 운행하며, 구시로 - 네무로 구간 직통 열차 외에 구시로 - 앗케시, 앗토코 - 네무로 간 구간 열차가 있어 2~3시간에 1편 정도 배차된다. 보통 열차 중에는 앗토코 - 네무로 구간의 일부 정차역을 통과하는 열차도 있다. 1991년 7월 1일 발족한 「하나사키선 운수 영업소」가 이 구간을 관리 운영한다. 여름 한정으로 야간 열차 「마리모」가 네무로까지 연장 운행했으나, 삿포로 - 네무로 구간 여객 감소로 2006년 이후 폐지되었다. 대부분의 열차가 구시로역에서 삿포로발/행 특급 열차와 접속하지만, 아침과 밤의 왕복 1회는 특급과 접속하지 않는다. (이전에는 특급열차 「마리모」가 접속했다.)

기하 54형 DMU 일반 열차

4. 1. 광역 수송

가미오치아이 신호장 - 오비히로 - 구시로 구간은 세키쇼 선과 함께 도동 지역의 주요 간선을 형성하고 있어, 삿포로까지 직통 운행하는 특급 열차가 많이 다니고 있다. 2009년 현재 구시로 - 삿포로 구간을 특급 '수퍼 오조라'가 7번 왕복, 삿포로 - 오비히로 구간을 '수퍼 도카치'가 왕복 5회 운행하고 있다.[4] 다키카와 - 후라노 구간은 삿포로까지 연결되는 리조트 특급 '후라노 라벤더 익스프레스'가 부정기적으로 운행되고 있다.

세키쇼 선이 전 구간 개통하기 전에는 하코다테 · 삿포로 - 오비히로 · 구시로 간의 특급 · 급행열차도 다키카와 · 후라노 경유로 운행하고 있었다.

가미오치아이 신호장에서 세키쇼 선과 합류하여 삿포로 - 구시로 간의 간선 루트를 형성하는 구간이다. 고속화 개량이 이루어져 특급열차가 최고속도 130km/h로 운행한다. 단 히로우치 신호장 - 니시신토쿠 신호장 구간은 산맥으로부터 내려오는 계곡풍이 지나가는 통로가 되고 있어 1994년 특급 '오조라' 탈선 사고 이전에도 자주 탈선과 전복 사고가 일어났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서 방풍책을 설치하는 한편 이 구간을 「제한 속도 구간」으로 설정, 풍속 20m 이상에선 45km/h로 감속, 25m 이상에선 운행중지 조치를 취하고 있다. 이케다역을 지나 아쓰나이 강가의 구불구불한 구간과, 태평양 연안의 구릉과 습지, 하구를 피한 구간은 짧은 거리지만 가장 선형이 나쁜 구간으로, 이것을 극복하기 위해서 키하 283계의 사양이 높아졌다. 커브 구간은 모두 PC 침목화되어 있지만, 다른 일부 구간에서는 목재 침목을 사용한 궤도도 아직 남아 있어서 최고속도인 130km/h로 주행할 수 있는 구간은 적다. 또한 이 구간에서는 에조 사슴의 선로 침입이 많다.

신토쿠역 - 오비히로 - 구시로 구간은, 세키쇼 선과 함께 도동으로의 주요 간선을 형성하고 있으며, 2020년 3월 14일 현재, 삿포로 발착의 특급 열차가 다수 운행되고 있다. 삿포로 - 구시로 간의 특급 "오조라"가 6왕복, 삿포로 - 오비히로 간의 "도카치"가 5왕복 운행되고 있다.

특급 열차 ''오조라''


주요 역이 표시된 노선도(2024년 기준)

4. 2. 지역 수송

다키카와후라노 사이에는 하루 9회, 후라노와 히가시시카고에 사이에는 하루 4회 일반 열차가 운행된다. 2016년 8월 태풍 피해로 인해 히가시시카고에신토쿠 사이는 운행이 중단되었으며, 승객들은 버스로 환승해야 했다.[3]

신토쿠역 동쪽 구간은 삿포로 (세키쇼 선 경유)와 홋카이도 동부를 잇는 간선 노선의 일부를 형성하며, 노선이 동쪽으로 갈수록 운행 횟수가 줄어들지만 비교적 운행 횟수가 많다. 특급 열차 ''오조라''는 삿포로와 구시로 사이를 하루 6회 운행하며, ''도카치''는 삿포로와 오비히로 사이를 하루 5회 운행한다.[4] 신토쿠와 이케다 사이에는 11개의 일반 열차가 운행하며, 이케다와 우라호로 사이에는 8개, 우라호로와 구시로 사이에는 6개의 일반 열차가 운행한다.[5]

구시로와 네무로 사이 구간은 공식적으로 花咲線|하나사키 선일본어이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다. 하루에 한 번씩 운행하는 ノサップ|노삽일본어과 はなさき|하나사키일본어라는 2개의 쾌속 열차가 운행한다. 구시로와 앗토코 사이에는 매일 6개의 일반 열차가 운행하며, 네무로의 동쪽 종착역까지는 4~5개의 일반 열차가 운행한다.[5] 2022년 말 기준, 이 노선 구간은 사슴의 침입으로 인해 열차가 긴급 정차하면서 잦은 지연과 결행이 발생했다.[6]

도쿄역에서 네무로까지는 총 1,559.2km의 거리를 4대의 열차로 15시간이 조금 넘게 걸리는 연속적인 기차 여행으로 갈 수 있으며, 도쿄를 오전 6시 32분에 출발하여 오후 9시 39분에 네무로에 도착한다.[7] 전 노선 단선 비전철화 노선으로, JR의 노선 중 일본 최동단에 위치한다.

신토쿠역 - 오비히로역 - 구시로역 구간은 세키쇼선과 함께 삿포로시와 오비히로시·구시로시를 잇는 간선 루트의 일부를 이루며, 정기 특급 열차로 "오조라"가 운행되고 있다. 한편, 타키카와역 - 후라노역 구간과 구시로역 - 네무로역 구간은 지역 수송 중심의 로컬선이 되고 있지만, 타키카와역 - 후라노역 구간에서는 특급 "후라노 라벤더 익스프레스"를 운행하거나, 구시로역 - 네무로역 구간에서는 쾌속 열차 및 보통 열차에 지정석을 설치하는 등 관광 수송을 의식한 노력도 이루어지고 있다.

쾌속을 포함한 모든 보통 열차가 원맨 운전을 하고 있다. 보통 열차만 운행한다. 다키카와역 - 후라노역 구간에서는 하행 9편, 상행 8편이 운행되며, 아시베츠역 출발, 6시대에 다키카와행 1편이 운행된다.

2016년 태풍 제10호로 피해를 입기 전에는, 쾌속 열차가 "가치카치"로 다키카와역 출발 이케다역행(오비히로역 - 이케다역 구간 보통 열차) 하행 1편과 아사히카와역 - 후라노역 - 오비히로역 구간(아사히카와역 - 후라노역 구간의 후라노선 구간은 일부 역을 통과하는 보통 열차)에 1왕복 운행되었으며, 열차명이 없는 쾌속 열차가 다키카와 출발 신토쿠역행 하행 1편, 후라노 출발 다키카와행 상행 2편이 운행되었다. 보통 열차는 대략 다키카와역 - 신토쿠역 간 직통 열차(대부분 오비히로역 방면까지 운행)와 다키카와역 - 후라노역 간 구간 운행 열차로 크게 구분되었다. 또한, 2016년 3월 25일까지는 다키카와역 - 오치아이역 간 열차와 다키카와 출발 아시베츠 종착 열차도 설정되어 있었다. 후라노역 - 히가시시카고에역 간이 복구된 후의 시간표에서는, 히가시시카고에 출발 6시 30분이 시발, 후라노 출발 19시가 막차였다. 2013년 10월 31일까지는 후라노 출발 신토쿠행이 22시에 있었고, 그 후 21시대에 앞당겨졌다.

연선에서는 다이세쓰산 연봉과 도카치다케가 보이며, 무인 지대를 관통하는 세키쇼선과 달리 완만한 구릉 지대와 농촌이 펼쳐져 있다. 또한 소라치강의 가나야마 댐과 다키사토 댐 건설로 인해 일부 구간이 다키사토 터널, 소라치 터널, 시카고에 철교 경유의 신선으로 변경되었다.

또한, 다키카와 - 아시베츠 간에는 홋카이도 중앙 버스의 노선 버스가 병행 운행하고 있으며, 평일에는 해당 구간의 보통 열차보다 운행 횟수가 더 많다.

5. 역 목록

거리
(km)접속 노선소재지A 21다키카와滝川|다키카와일본어Takikawa0.0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다키카와시T 23아카비라赤平|아카비라일본어Akabira13.7아카비라시T 24모시리茂尻|모시리일본어Moshiri17.2T 26아시베쓰芦別|아시베쓰일본어Ashibetsu26.6T 27가미아시베쓰上芦別|가미아시베쓰일본어Kami-ashibetsu30.5아시베쓰시T 30후라노富良野|후라노일본어Furano54.6홋카이도 여객철도 후라노 선후라노시K 23신토쿠新得|신토쿠일본어Shintoku136.3홋카이도 여객철도 세키쇼 선 (영업 상 분기점)가미카와 군신토쿠정K 24도카치시미즈十勝清水|도카치시미즈일본어Tokachi-Shimizu145.4시미즈정K 26미카게御影|미카게일본어Mikage155.9K 27메무로芽室|메무로일본어Memuro166.5가사이 군메무로정K 28다이세이大成|다이세이일본어Taisei168.6K 29니시오비히로西帯広|니시오비히로일본어Nishi-Obihiro173.4오비히로시K 30하쿠린다이柏林台|하쿠린다이일본어Hakurindai176.6K 31오비히로帯広|오비히로일본어Obihiro180.1K 32사쓰나이札内|사쓰나이일본어Satsunai184.9나카가와 군마쿠베쓰정K 34마쿠베쓰幕別|마쿠베쓰일본어Makubetsu194.3K 35도시베쓰利別|도시베쓰일본어Toshibetsu200.8이케다 정K 36이케다池田|이케다일본어Ikeda204.3K 37도후쓰十弗|도후쓰일본어Tōfutsu212.8도요코로정K 38도요코로豊頃|도요코로일본어Toyokoro218.2K 39신요시노新吉野|신요시노일본어Shin-Yoshino225.3도카치 군우라호로정K 40우라호로浦幌|우라호로일본어Urahoro231.7K 45온베쓰音別|온베쓰일본어Ombetsu265.1구시로시K 47시라누카白糠|시라누카일본어Shiranuka281.1시라누카 군시라누카정K 48니시쇼로西庶路|니시쇼로일본어Nishi-Shoro286.5K 49쇼로庶路|쇼로일본어Shoro288.6K 50오타노시케大楽毛|오타노시케일본어Otanoshike299.0구시로 시K 51신오타노시케新大楽毛|신오타노시케일본어Shin-Otanoshike300.8K 52신후지新富士|신후지일본어ShinFuji305.7K 53구시로釧路|구시로일본어Kushiro308.4B 54히가시쿠시로東釧路|히가시쿠시로일본어Higashi-Kushiro311.3홋카이도 여객철도 센모 본선무사武佐|무사일본어Musa312.5벳포別保|벳포일본어Beppo317.0구시로 군구시로정가미오보로上尾幌|가미오보로일본어Kami-oboro331.7앗케시 군앗케시정몬시즈門静|몬시즈일본어Monshizu350.1앗케시厚岸|앗케시일본어Akkeshi355.0자나이茶内|자나이일본어Chanai375.2하마나카정하마나카浜中|하마나카일본어Hamanaka382.2아네베쓰姉別|아네베쓰일본어Anebetsu392.3앗토코厚床|앗토코일본어Attoko398.9네무로시오치이시落石|오치이시일본어Ochiishi424.8니시와다西和田|니시와다일본어Nishiwada433.6히가시네무로東根室|히가시네무로일본어Higashi-Nemuro442.3네무로根室|네무로일본어Nemuro443.8



다키카와 - 후라노 구간, 신토쿠 - 히가시쿠시로 구간에는 역 번호가 설정되어 있다.

2024년 4월 1일, 후라노 - 신토쿠 구간(81.7km)이 폐지되었다.[1] 이 구간은 이용객 감소와 2016년 태풍 피해로 인해 버스로 대체 운행되어 오다가 폐지되었다.[8]

5. 1. 다키카와 - 후라노 구간

다키카와 - 후라노 구간에는 컨테이너 차로 구성된 최고 속도 95km/h의 고속 화물 열차가 운행되며, 삿포로 화물 터미널과 후라노 사이에 임시 열차가 왕복 2회 설정되어 있다.

역 번호역명일본어 역명누계 거리 (km)접속 노선소재지
A21다키카와滝川|다키카와일본어0.0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다키카와시
T22히가시타키카와東滝川|히가시타키카와일본어7.2다키카와시
T23아카비라赤平|아카비라일본어13.7아카비라시
T24모시리茂尻|모시리일본어17.2아카비라시
T25히라기시平岸|히라기시일본어20.7아카비라시
T26아시베쓰芦別|아시베쓰일본어26.6아시베쓰시
T27가미아시베쓰上芦別|가미아시베쓰일본어30.5아시베쓰시
T28노카난野花南|노카난일본어35.2아시베쓰시
T30후라노富良野|후라노일본어54.6홋카이도 여객철도 후라노 선후라노시



이 구간에서는 보통 열차만 운행하며, 다키카와 - 후라노 구간에는 하행 9편, 상행 8편이 운행된다. 아시베쓰에서는 다키카와행 열차 1편이 6시대에 출발한다.

2016년 태풍 제10호로 피해를 입기 전에는 쾌속 열차도 운행했으나, 현재는 보통 열차만 운행한다.

연선에서는 다이세츠산 연봉과 도카치다케를 볼 수 있으며, 세키쇼선과 달리 완만한 구릉 지대와 농촌이 펼쳐져 있다. 소라치강의 가나야마 댐과 다키사토 댐 건설로 인해 일부 구간은 다키사토 터널, 소라치 터널, 시카고에 철교를 경유하는 신선으로 변경되었다.

다키카와 - 아시베쓰 간에는 홋카이도 중앙 버스의 노선 버스가 병행 운행하고 있으며, 평일에는 해당 구간의 보통 열차보다 운행 횟수가 많다.

5. 2. 신토쿠 - 구시로 구간

이 구간은 삿포로역 - 구시로역 간 간선 루트를 형성하며, 세키쇼 선과 함께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고속화 개량이 실시되어 특급 열차가 최고 속도 120km/h로 운행한다.

이케다역을 지나면 아쓰나이 강을 따라 굽이치는 구간과 태평양 연안의 구릉, 습지, 하구를 피한 구간이 있는데, 거리는 짧지만 이 노선에서 가장 선형이 좋지 않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키하283계의 사양이 적용되었다. 커브 구간은 모두 PC 침목으로 변경되었지만, 일부 구간에서는 침목에 목재를 사용한 궤도가 남아 있어, 최고 속도 130km/h로 주행할 수 있는 구간은 적었다. 또한, 이 구간에서는 에조사슴의 선로 침입이 많다.

신토쿠역 - 오비히로역 - 구시로역 구간은, 세키쇼 선과 함께 도동으로의 주요 간선을 형성하고 있으며, 2020년 3월 14일 현재, 삿포로역 발착의 특급 열차가 다수 운행되고 있다. 삿포로역 - 구시로역 간의 특급 "오조라"가 6왕복, 삿포로역 - 오비히로역 간의 "도카치"가 5왕복 운행되고 있다.

지역 수송은 보통 열차가 오비히로역, 구시로역을 중심으로 운행되며, 오비히로·구시로 지역은 1~2시간에 1대 정도 운행하며, 오비히로 권에서는 메무로·이케다·우라호로 발착, 구시로 권에서는 오토베츠·시라누카·다이라쿠모 발착 구간 열차가 있다. 오비히로역에서 환승해야 하는 열차도 많다. 우라호로역 - 온베쓰역 간은 운행 횟수가 적어 1일 6왕복이다.

2021년 3월 13일 개정부터 신토쿠역 - 오비히로역 간 하행 1편 (쾌속), 상행 2편 (이 중 1편은 메무로행으로 변경)의 감편, 해당 구간 상행 쾌속 1편의 각역 정차가 실시되었다. 또한, 오전 6시대 아쓰나이발 구시로행 하행 시발 열차가 오토베츠발로 변경되었다.

2022년 3월 12일 개정부터, 이 구간을 운행하는 보통 열차는 H100형으로 통일되어, 속도 향상이 실시되었다. 또한, 이 개정으로 신토쿠역 - 이케다역 간 쾌속 "카치가츠" 운행이 없어졌다.

역 번호역명영업 킬로접속 노선선로소재지
K23신토쿠역0.0홋카이도 여객철도: 세키쇼 선 (특급만 오비히로 방면에서 직통)가미카와군 신토쿠정
K24도카치시미즈역9.1가미카와군 시미즈정
히라노가와 신호장15.3가미카와군 시미즈정
K26미카게역19.6가미카와군 시미즈정
가미메무로 신호장24.3가미카와군 시미즈정
K27메무로역30.2가사이군 메무로정
K28다이세이역32.3가사이군 메무로정
K29니시오비히로역37.1오비히로시
(화) 오비히로 화물역39.7오비히로시
K30하쿠린다이역40.3오비히로시
K31오비히로역43.8오비히로시
K32사쓰나이역48.6나카가와군 마쿠베쓰정
K34마쿠베쓰역58.0나카가와군 마쿠베쓰정
K35토시베쓰역64.5나카가와군 이케다정
K36이케다역68.0나카가와군 이케다정
쇼에이 신호장72.2나카가와군 이케다정
K37주포역76.5나카가와군 토요코로정
K38토요코로역81.9나카가와군 토요코로정
K39신요시노역89.0도카치군 우라호로정
K40우라호로역95.4도카치군 우라호로정
토요토요 신호장99.7도카치군 우라호로정
(K41)가미아쓰나이 신호장107.2도카치군 우라호로정
K42아쓰나이역113.8도카치군 우라호로정
(K43)지키베쓰 신호장121.0구시로시
(K44)샤쿠베쓰 신호장125.0구시로시
K45온베쓰역128.8구시로시
(K46)후루세 신호장138.5시라누카군 시라누카정
K47시라누카역144.8시라누카군 시라누카정
K48니시쇼로역150.2시라누카군 시라누카정
K49쇼로역152.3시라누카군 시라누카정
히가시쇼로 신호장157.5시라누카군 시라누카정
K50오타노시케역162.7구시로시
K51신오타노시케역164.5구시로시
K52신후지역169.4구시로시
(화) 구시로 화물역169.4구시로시
K53구시로역172.1구시로시


5. 3. 구시로 - 네무로 구간 (하나사키 선)



'''하나사키 선'''이라는 애칭으로 불리는 이 구간은, 구시로역 이서 구간과는 운행 계통이 완전히 분리되어 있다. 과거에는 구시로 역을 넘는 직통 열차도 있었지만, 원래 수가 적었으며, 전 구간 개통 후 4년도 채 안 된 1925년 4월 시점에는 이미 1일 편도 3편씩이었고, 과반수의 열차는 상하행 모두 구시로 행이었다.[74] 1970년대 초반까지 직통 열차는 디젤 급행 1편뿐이었고, 보통 열차는 모두 구시로 행이 되었다.[75] 2022년 3월 개정 시점에서 구시로 역 - 네무로 역 간 직통 열차는 쾌속 열차가 "하나사키" 1왕복과 "노삿푸" 하행 1편뿐, 보통 열차가 4.5왕복으로 총 6왕복이 운행되고 있다. 또한, 구시로 역 - 앗케시 역 간 구간 열차가 새벽·야간에 총 2왕복 설정되어 있다. 보통 열차 중에는 아쓰토코 역 - 네무로 역 간의 일부 역을 통과하는 것도 있다. 1991년(헤이세이 3년) 7월 1일에 발족한 "하나사키 선 운수 영업소"가 이 구간을 관리·운영하고 있다.

과거, 여름 한정으로 야간 열차 "마리모"가 네무로역까지 연장 운행되기도 했지만, 삿포로역 - 네무로 역 간을 통째로 이용하는 여객이 감소하면서, 2006년(헤이세이 18년) 이후에는 연장 운행되지 않게 되었다.

대부분의 열차가 구시로 역에서 삿포로 발 특급 열차와 연결되지만, 아침·야간의 1왕복은 특급과 연결되지 않는다(과거에는 특급 "마리모"와 연결되었다).

이 구간은 구시로 역 이서에 비해 에조 사슴의 선로 침입이 현저하게 많다(후술).

역 번호역명영업 거리쾌속접속 노선rowspan="3" style="width:1em; border-bottom:solid 3px #2cb431;" |소재지
역간누계하나사키노삿푸
신토쿠
에서
다키카와
에서
K53구시로역-172.1308.4 구시로 관내구시로시
B54히가시구시로역2.9175.0311.3홋카이도 여객철도:센모 본선[98]
 무사역1.2176.2312.5 
 벳포역4.5180.7317.0 구시로군
구시로정
 가미오보로역14.7195.4331.7 앗케시군앗케시정
 오보로역9.2204.6340.9 
 몬시즈역9.2213.8350.1 
 앗케시역4.9218.7355.0 
 차나이역20.2238.9375.2 하마나카정
 하마나카역7.0245.9382.2 
 아네베쓰역10.1256.0392.3 
 앗토코역6.6262.6398.9 네무로 관내네무로시
 벳토가역15.6278.2414.5 
 오치이시역10.3288.5424.8 
 곤부모리역4.0292.5428.8 
 니시와다역4.8297.3433.6 
 히가시네무로역8.7306.0442.3 
 네무로역1.5307.5443.8 


5. 4. 폐지 구간

2024년 4월 1일, 후라노 - 신토쿠 구간(81.7km)이 폐지되었다.[1] 이 구간은 1980년 하루 4,664명에서 1985년 하루 654명, 2015년에는 하루 152명으로 이용객이 급격히 감소했다.[8] 2016년 8월 31일 집중 호우로 인해 히가시시카고에와 가미오치아이 분기점 사이 17.4km 구간이 파손되어 버스로 대체 운행되었다.[8] 2023년 3월 31일 폐지 통지서가 제출되었다.[11][12]

폐지된 구간의 역 목록은 다음과 같다.

역 번호역명후라노에서다키카와에서접속 노선・비고소재지
T30후라노역0.054.6후라노선후라노시
T31누노베역6.360.9 후라노시
T32야마베역12.166.7 후라노시
T33시모카네야마역20.174.7 소라치군 미나미후라노정
T34가네야마역27.081.6 소라치군 미나미후라노정
T35히가시시카고시역40.294.8 소라치군 미나미후라노정
T36이쿠토라역44.298.8 소라치군 미나미후라노정
T37오치아이역53.6108.2 소라치군 미나미후라노정
가미오치아이 신호장57.6111.2세키쇼선과의 시설상 분기점가미카와군 신토쿠정
신카리토 신호장63.2117.8 가미카와군 신토쿠정
히로나이 신호장69.4124.0 가미카와군 신토쿠정
니시신토쿠 신호장74.9129.5 가미카와군 신토쿠정
K23신토쿠역81.7136.3세키쇼선가미카와군 신토쿠정



1966년 10월 1일에는 오치아이 - 가리카치 신호장 - 니나이 - 신토쿠 구간 (27.9km)이 폐지되었다. 이 구간은 일본 신 팔경 및 철도성이 선정한 일본 3대 풍경 중 하나인 가리카치 고개를 포함하고 있었다.

또한, 다음 화물역들도 폐지되었다.

2017년 3월 4일에는 시마노시타역(T29), 가미-아츠나이역(K41), 이나시벳츠역(K33)이, 2018년 3월 17일에는 하오비역(K25)이, 2019년 3월 16일에는 초쿠베츠역(K43), 샤쿠베츠역(K44), 핫타우시역이, 2020년 3월 14일에는 후루세역(K46)이 폐지되었다. 2024년 4월 1일에는 히가시-타키카와(T22), 아츠나이(K42), 오보로, 벳토가, 콤붐오리 역이 추가로 폐지되었다.[18]

6. 문제점 및 과제

에조사슴에 의한 운행 장애와 노선 유지 문제는 네무로 본선의 주요 과제이다. 특히 후라노역 - 신토쿠역 구간은 2016년 태풍 피해 이후 복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버스 전환이 결정되었다.

2016년 11월 18일, JR 홋카이도는 "자사 단독으로 유지하기 어려운 노선"으로 네무로 본선의 일부 구간을 포함한 10개 노선 13개 구간을 발표했다. 신토쿠역-오비히로역 구간은 JR 홋카이도 단독 유지, 오비히로역-구시로역 구간은 당분간 유지, 다키카와역-후라노역 구간 및 쿠시로역-네무로역 구간은 비용 확보 어려움, 후라노역-신토쿠역 구간은 버스 전환을 전제로 연선 지자체와 협의가 진행되었다.

2019년 11월 13일, JR 홋카이도는 미나미후라노정과의 회담에서 히가시시카고에역 - 신토쿠역 구간 복구 시 연간 9.8억의 적자가 예상된다는 추산을 제시했다. 또한, 버스 전환 시에는 연간 1.1억의 경비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결국 2022년 1월 28일, 후라노시, 미나미후라노정, 신토쿠정, 시무캇푸촌 4개 시정촌은 철도 유지를 포기하고 버스 전환을 용인하기로 결정했다.[65][62]

이에 따라 2023년 3월 30일, JR 홋카이도와 연선 4개 시정촌은 후라노역 - 신토쿠역 구간의 폐지 및 버스 전환에 관한 각서를 체결했고, 연선 7개 시정촌은 동의서를 체결했다. 다음 날인 3월 31일, 폐지 신고서가 제출되었다.

JR 홋카이도는 후라노역 - 신토쿠역 구간 폐지에 따른 버스 전환 지원금으로 20.9억을 관련 4개 시정촌에 지불할 예정이다.

6. 1. 에조 사슴에 의한 운행 장애

에조사슴은 일본사슴과 동종이지만, 일본사슴보다 크고 체중이 200kg을 넘는 개체도 있어 열차와 충돌했을 때 큰 문제가 된다. JR홋카이도 관할 노선 전체에서 에조사슴과의 충돌이나, 충돌을 피하기 위한 급제동 등으로 인한 운행 지장 건수는 최근 현저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그 원인은 수렵 금지 등에 의한 에조사슴의 개체 수 증가로 보인다. 1990년대 전반 연간 200 - 300건 정도였던 지장 건수가, 2004년도에는 연간 1,000건을 넘었고 2006년도엔 1,311건에 달하고 있다.

네무로 본선은 홋카이도 내에서도 에조사슴의 선로 침입이 눈에 띄게 많은 구간이다. 2006년도의 전 노선 1,311건 중 763건이 구시로 지사 관내에서 발생했으며, 그 중 452건은 오치아이 동쪽의 네무로 본선에서 일어나고 있다.

6. 2. 노선 유지 문제와 지역 사회의 노력

1981년, 세키쇼 선 개통으로 홋카이도 중부와 남동부를 잇는 주요 노선이 변경되면서 네무로 본선 후라노-신토쿠 구간 이용객이 급감했다. 1980년 하루 4,664명에서 1985년 654명, 2015년에는 152명으로 줄었으며, 이들은 대부분 고등학교 통학생이었다.[8]

2016년 8월, 집중 호우으로 히가시-시카고에-가미오치아이 분기점 사이 17.4km 구간이 파손되어 히가시시카고에-신토쿠 간 여객 운송이 버스로 대체되었다.[8] 같은 해 11월, JR 홋카이도는 네무로 선 후라노-가미오치아이 분기점 구간 폐선을 포함한 대규모 구조조정 계획을 발표했다.[9] 2022년 1월, 후라노-신토쿠 구간 지방 자치 단체들은 노선 유지 노력을 포기했고, 12월에는 JR 홋카이도 사장이 2023년 이후 버스 운행 전환 목표를 발표했다.[10] 2023년 3월 31일, 폐지 통지서가 제출되었다.[11][12]

구시로-네무로 구간도 제3섹터 운영 전환이 제안되었으나, 지방 자치 단체 동의가 없을 경우 폐쇄될 수 있었다. 2021년 4월, 네무로시는 동쪽 하나사키 선 구간 유지를 위해 크라우드 펀딩으로 5천만 엔 이상을 모금했다.[13] 2021년 중반 기준, 이 구간은 하루 약 200명의 승객만 이용했다.[14]

2017년 3월, 시마노시타역(T29), 가미-아츠나이역(K41), 이나시벳츠역(K33)이 폐쇄되었고,[15] 2018년 3월에는 하오비역(K25)이 폐쇄되었다.[16] 2019년 3월, 초쿠베츠역(K43), 샤쿠베츠역(K44), 핫타우시역이 폐쇄되었고, 초쿠베츠역과 샤쿠베츠역은 신호장으로 변경되었다.[17] 2020년 3월, 후루세역(K46)이 폐쇄되어 네무로 본선 역 수는 60개가 되었다.

2023년 6월, 2024년 4월 1일부터 후라노-신토쿠 구간이 폐쇄되어 노선이 두 부분으로 나뉘게 된다는 것이 밝혀졌다.[1] 또한, 승객 수가 적어 히가시-타키카와(T22), 아츠나이(K42), 오보로, 벳토가, 콤붐오리 등 5개 역이 폐쇄될 예정이다.[18]

연도사건
1987년 4월 1일국철 분할 민영화로 홋카이도 여객철도(JR 홋카이도)가 타키카와역-네무로역 간 제1종 철도사업자 승계. 일본화물철도(JR 화물)는 쿠시로역-하마쿠시로역 간 제1종 철도사업자 승계. 다이세이 임시 승강장, 하쿠린다이 임시 승강장, 이나시베츠 가승강장, 후루세 신호장 여객역 승격.
1988년 3월 13일히가시쿠시로역-벳포역무사역 개설.
1988년 11월 3일오타쿠모역-신후지역 간 신오타쿠모역 개설.
1989년 8월 1일쿠시로역-하마쿠시로역 간 화물 지선 및 하마쿠시로역 폐지 (-3.8km).
1990년 3월 10일이나시베츠역, 후루세역 영업 킬로 설정.
1990년 9월 1일타키카와역-후라노역-신토쿠역 간 정기 우등열차 운행 종료. 쿠시로역-네무로역 간 일부 열차 원맨 운전 개시.
1990년 12월 10일아쓰나이 터널(신 루트) 사용 개시.
1991년 7월 1일쿠시로역-네무로역 간 "하나사키선" 애칭 설정 및 전 열차 원맨 운전.
1991년 10월 22일노카난역-시마노시타역 간 선로 이설 (-3.0km) 및 타키리역 폐지.
1993년 1월 15일쿠시로 앞바다 지진 발생.
1993년 3월 18일타키카와역-쿠시로역 간 모든 보통 열차 원맨 운전 개시.
1994년 4월 1일JR 홋카이도 본사-쿠시로 지사 경계 변경.
1996년 11월 24일하쿠린다이역-오비히로역 간 고가화.
1997년 3월 22일특급 "슈퍼 오조라" 운행 개시.
2001년 7월 20일시라누카역-쿠시로역 간 개통 100주년 기념식전.
2002년 4월 1일JR 화물 쿠시로역-히가시쿠시로역 간 제2종 철도사업 폐지 (-2.9km).
2006년 4월 1일JR 화물 신후지역-쿠시로역 간 제2종 철도사업 폐지 (-2.7km).
2007년 10월 1일타키카와역-히가시쿠시로역 간 역 넘버링 실시.
2011년 3월 12일JR 화물 오비히로역, 신후지역 -> 오비히로 화물역, 쿠시로 화물역 개칭.
2016년 3월 26일하나사키역 폐지.
2016년 8월 31일태풍 10호 피해.
2016년 10월 24일JR 홋카이도, 후라노역-신토쿠역 간 폐지·버스 전환 검토 발표.
2016년 12월 22일가미오치아이 신호장-메무로역 간 복구.
2017년 3월 4일이나시베츠역 폐지. 시마노시타역, 가미아쓰나이역 신호장 변경.
2017년 3월 28일히가시시카고에역-신토쿠역 간 대행 버스 운행 개시.
2018년 3월 17일하오비역 폐지.
2019년 3월 16일하츠타규역 폐지. 지키베츠역, 샤쿠베츠역 신호장 변경.
2019년 11월 13일JR 홋카이도, 미나미후라노정에 후라노역-신토쿠역 간 버스 전환 시 추산 공표.
2020년 2월 5일아시베츠역-후라노역 간 운전 재개.
2020년 3월 14일후루세역 신호장 변경.
2022년 1월 28일후라노시 등, 후라노역-신토쿠역 간 버스 전환 용인.



2016년 11월 18일, JR 홋카이도는 "자사 단독으로 유지하기 어려운 노선" 10개 노선 13개 구간을 발표했다. 이 중 네무로 본선은 신토쿠역-오비히로역 구간은 JR 홋카이도 단독 유지 가능, 오비히로역-쿠시로역 구간은 당분간 JR 홋카이도 운영 유지, 다키카와역-후라노역 구간 및 쿠시로역-네무로역 구간은 비용 확보 어려움, 후라노역-신토쿠역 구간은 버스 전환 전제로 협의가 진행되었다.

2016년 8월 태풍 피해로 운행 중지된 히가시시카고에역-신토쿠역 구간은 폐지 검토 대상에 포함되었고, 복구 공사는 실시되지 않았다.[63]

2019년 11월 13일, JR 홋카이도는 미나미후라노정에 해당 구간 복구 시 연간 9억 8천만 엔 적자, 버스 전환 시 1억 1천만 엔 경비 예상 추산을 제시했다.

2021년 7월, 연선 7개 시정촌으로 구성된 "네무로 본선 대책 협의회"는 JR 홋카이도와의 협의를 시작하기로 결정했다.[64]

2022년 1월 28일, 관련 4개 시정촌은 철도 유지를 포기하고 버스 전환을 용인했다.[65][62]

후라노역-신토쿠역 구간 폐지에 따라, JR 홋카이도는 관련 4개 시정촌에 버스 전환 지원금 20억 9천만 엔을 지불할 의향을 밝혔다.

2023년 3월 30일, JR 홋카이도와 4개 시정촌은 후라노역-신토쿠역 구간 폐지·버스 전환 각서를 체결하고, 연선 7개 시정촌은 동의서를 체결했다. 다음 날 폐지 신고가 제출되었다.

폐지된 후라노역-신토쿠역 구간의 대체 교통 체계는 다음과 같다.

구간교통 수단비고
후라노-이쿠토라 간 (국도 제38호선 경유)후라노 버스 니시닷푸선
후라노-가나야마 간 (국도 제237호선 경유)미나미후라노정 정영 버스, 시무캇푸촌 정영 버스
시모가나야마-이쿠토라 간미나미후라노정 정영 버스 (수요 응답 방식)
이쿠토라-오치아이미나미후라노정 정영 버스 (수요 응답 방식), 시무캇푸촌 정영 버스
히가시시카고에-오치아이미나미후라노정 정영 버스



가리후토 고개를 넘는 오치아이-신토쿠 구간은 도시 간 버스 「노스 라이너」를 증편하고 오치아이에 정류장을 신설했다. 노스 라이너와 니시닷푸선 등은 미치노에키 미나미후라노에서 환승이 고려되었다.

참조

[1] 보도자료 北海道旅客鉄道株式会社の鉄道事業の一部を廃止する届出及び本届出に係る公衆の利便の確保に関する意見の聴取について https://wwwtb.mlit.g[...] 国土交通省北海道運輸局 2023-03-31
[2] 보도자료 根室線(富良野・新得間)の鉄道事業廃止届の提出について https://www.jrhokkai[...] 北海道旅客鉄道 2023-03-31
[3] 웹사이트 Notice of rail replacement bus service between Higashi-Shikagoe and Shintoku https://www.jrhokkai[...] 2022-03-12
[4] 웹사이트 The Limited Express Ozora for Kushiro, Obihiro, and Sapporo – Sapporo Station https://www.sapporos[...] 2023-01-06
[5] 문서 JR Hokkaido online timetable, January 2023
[6] 웹사이트 Increase in JR train cancellations caused by deer, with 88 in 12 days - The Hokkaido Shimbun Press https://h2w.hokkaido[...] 2023-01-06
[7] 웹사이트 Cape Nosappu: The most eastern point in Japan https://www.jrpass.c[...] 2023-01-06
[8] 웹사이트 JR根室線 富良野〜新得廃止へ 地域の足はどうなる? https://www.nhk.or.j[...] 2023-01-06
[9] 웹사이트 JR Hokkaido says it can't maintain half of its railways http://www.japantime[...] 2016-11-19
[10] 웹사이트 富良野―新得、早期バス転換目指す JR北海道社長 新幹線延伸「目標通りに」:北海道新聞 どうしん電子版 https://www.hokkaido[...] 2023-01-06
[11] 보도자료 北海道旅客鉄道株式会社の鉄道事業の一部を廃止する届出及び本届出に係る公衆の利便の確保に関する意見の聴取について https://wwwtb.mlit.g[...] 国土交通省北海道運輸局 2023-03-31
[12] 보도자료 根室線(富良野・新得間)の鉄道事業廃止届の提出について https://www.jrhokkai[...] 北海道旅客鉄道 2023-03-31
[13] 뉴스 Over $455,000 donated to save local line in Hokkaido for use as 'train trips' for children https://mainichi.jp/[...] 2021-04-07
[14] 웹사이트 Loneliness at the End of the Line https://japan-forwar[...] 2021-06-02
[15] 웹사이트 About JR Hokkaido March 2017 timetable revision https://www.jrhokkai[...] 2016-01-16
[16] 웹사이트 About JR Hokkaido March 2018 timetable revision https://www.jrhokkai[...] 2017-12-15
[17] 웹사이트 2019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s://www.jrhokkai[...] 2018-12-14
[18] 웹사이트 「JR北海道が42駅廃止検討」報道、宗谷本線の駅がごっそり消える? https://news.mynavi.[...] 2023-06-26
[19] 서적 鉄道電報略号 1959-09-17
[20] 문서 별명 「소사가와교량」.
[21] 문서 별명 「펜케신토쿠가와교량」.
[22] 문서 원래 제1, 제2 삿나이가와교량이 있었다.
[23] 문서 북가키는 교토부 지사 재직 중에 비와호 수로 건설을 계획하고, 공부대학교를 갓 졸업한 다나베를 주임기사로서 교토부로 초빙한 관계가 있었다.
[24] 문서 동시에, 아사히카와역 - 시모후라노역 - 신토쿠역 - 오비히로역 - 쿠시로역(초대)간의 루트가 전통.
[25] 문서 이 시점에서는 신나이 신호소는 여객·화물 모두 취급하지 않았다.
[26] 문서 본선 옆에 깔린 측선의 바깥쪽(역 뒤쪽)에 가늘고 긴 저탄장을 사이에 두고 샤쿠베쓰탄광의 운탄궤도가 병행하여 깔려, 궤도측의 화차에서 국철측의 화차로 옮기는 작업을 했다.
[27] 문서 쇼와 3년판 선로 일람 약도
[28] 문서 다이쇼 14년도 철도성 철도 통계자료의 각역 운수 일람표
[29] 문서 「관보」에 통달이 없기 때문에, 국 설정인지 여부는 불명. 단, 전국 시각표의 색인 지도에는 이 날부터 임시 승강장을 나타내는 「(임시) 카리카츠」라는 표기가 게재되어 있었다.
[30] 학술지 이타가(3ッ구치) 터널 신카리카츠 터널
[31] 학술지 운수일지 https://doi.org/10.1[...] 교통경제연구소 1965-11
[32] 뉴스 오늘 신선 개통 네무로 본선의 킨잔-히가시시카고에 간 홋카이도 신문 1966-09-29
[33] 뉴스 신선 바꿔치기 완료 댐으로 수몰된 킨잔-히가시시카고에 간 환영의 깃발 속에서, 첫 번째 열차 홋카이도 신문 1966-10-01
[34] 뉴스 카리카츠 신선 오늘 개통 급격히 수송력 증강 4년 반, 72억엔의 공사비를 들여 홋카이도 신문 1966-10-01
[35] 뉴스 카리카츠 신선 스타트 처녀 열차 당당히 착공 4년째, 모습도 새롭게 홋카이도 신문 1966-10-01
[36] 뉴스 狩勝峠に最終列車 絶景惜しむ乗客 いつまでも手を振る 北海道新聞 1966-10-01
[37] 뉴스 特急無残、残雪の原野 線路、アメのよう 二両横転「満員だったら」 朝日新聞社 1976-04-14
[38] 문서 同区間の上落合信号場、新狩勝信号場、広内信号場、西新得信号場、新得駅は全て根室本線所属。両路線の施設場の分岐は上落合信号場、旅客営業上の分岐は新得駅である。
[39] 서적 JR気動車客車編成表 '99年版 ジェー・アール・アール 1999-07-01
[40] 서적 JR気動車客車編成表 '92年版 ジェー・アール・アール 1992-07-01
[41] 뉴스 地震でJR北海道のダイヤ乱れる 交通新聞社 1993-01-18
[42] 뉴스 根室本線、11日ぶりに全線開通 毎日新聞社 1993-01-26
[43] 뉴스 暫定ダイヤで運転再開 交通新聞社 1993-01-26
[44] 서적 JR気動車客車編成表 '93年版 ジェー・アール・アール 1993-07-01
[45] 문서 本社鉄道事業本部と釧路支社との境界は、落合駅-上落合信号場間にある新狩勝トンネルの滝川方入口付近である。
[46] 뉴스 地震で道東3区間不通 交通新聞社 1994-10-06
[47] 뉴스 被害は「釧路沖」に匹敵 JR根室線は開通 交通新聞社 1994-10-07
[48] 뉴스 厚岸-厚床間がきょう運転再開 交通新聞社 1994-10-13
[49] 뉴스 「江差線」懸命の復旧工事 JR北海道 花咲線はあす開通へ 交通新聞社 1994-11-03
[50] 뉴스 台風5号被害 JR花咲線 復旧の見通し立たず 上尾幌-厚岸間 代替バスを運行 北海道新聞社 1998-09-18
[51] 뉴스 花咲線、19日平常ダイヤに 交通新聞社 1998-10-14
[52] 뉴스 新線に切り替え JR花咲線 交通新聞社 1998-12-02
[53] 서적 JR気動車客車編成表 '02年版 ジェー・アール・アール 2002-07-01
[54] 서적 JR気動車客車編成表 '05年版 ジェー・アール・アール 2005-07-01
[55] 문서 2016년 8월 태풍 10호 피해 관련 내용
[56] 웹사이트 JR北海道 札沼線など4線区廃止へ https://www.htb.co.j[...] 北海道テレビ放送 2018-06-17
[57] 서적 鉄道の旅手帖 三訂版 実業之日本社
[58] 문서 東鹿越駅 - 新得駅間で2016年(平成28年)8月の台風10号による降雨災害の影響で運行されている「代行バス」ではない。
[59] 웹사이트 JRの架道橋損傷で運転見合わせ https://web.archive.[...] 日本放送協会 2019-11-21
[60] 뉴스 JR根室線が一部運休 代行バス高校生ら列 2019-11-22
[61] 웹사이트 JR北海道 運転状況 https://www.jrhokkai[...] 北海道旅客鉄道 2020-04-03
[62] 뉴스 JR根室線 富良野―新得間、存続断念 沿線4市町村長 バス転換受け入れへ https://www.hokkaido[...] 北海道新聞社 2022-01-28
[63] 뉴스 根室線存続・復旧 富良野市に訴え 新得の住民組織 2020-07-19
[64] 뉴스 富良野―新得間存廃でJRや道と協議へ 根室本線対策協 https://e-kensin.net[...] 2021-07-07
[65] 웹사이트 根室線富良野〜新得間 沿線自治体が鉄路存続断念 バス転換へ https://www3.nhk.or.[...] NHK 2022-01-28
[66] 웹사이트 JR北海道、根室本線新得~釧路間にH100形 - 帯広駅での接続改善も https://news.mynavi.[...] 2022-01-02
[67] 문서 동시에, 운행거리가 300km를 넘는 유일한 보통열차가 되었다.
[68] 웹사이트 JRダイヤ改正は2019年3月16日(24) 山陽本線369M、岩国駅までの運転に - 「シティライナー」設定なし https://news.mynavi.[...] 2019-02-25
[69] 문서 [[湖西線]] 경유가 아닌, [[米原駅]] 경유로 운행.
[70] 웹사이트 1位は敦賀発播州赤穂行きの275.5km! 青春18きっぷで乗る長距離ランキング ~運行距離編~〈dot.〉 https://dot.asahi.co[...] 2019-07-20
[71] 문서
[72] 웹사이트 2022年3月 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s://web.archive.[...] 東日本旅客鉄道大宮支社 2022-10-11
[73] 문서
[74] 서적 時刻表復刻版 1925年4月号 創刊号 JTBパブリッシング 2021
[75] 서적 シーナリィガイド 機芸出版社 1974
[76] 웹사이트 暮らしの情報 町営循環バス https://www.town.min[...] 2024-04-16
[77] 웹사이트 「ふらのベジタ号」運行スタート https://www.facebook[...] 2019-08-07
[78] 웹사이트 野生動物(鹿・熊)による列車運行への影響について https://www.jrhokkai[...] 北海道旅客鉄道 2021-06-16
[79] 문서
[80] 뉴스 近ごろJRで増えたもの 動物受難 情報機器の落とし物 1994-04-18
[81] 웹사이트 エゾシカと列車の接触事故どう防ぐ? JR北海道釧路支社に聞いた https://hokkaidofan.[...] 北海道ファンマガジン
[82] 웹사이트 列車支障件数によるエゾシカの生息動向評価 https://www.hro.or.j[...] 北海道立総合研究機構
[83] 웹사이트 野生動物との衝突防止のため減速運転を行います https://www.jrhokkai[...] 北海道旅客鉄道釧路支社 2022-12-01
[84] 웹사이트 H100形「DECMO(デクモ)」が代走で花咲線を初営業運転! https://rail.hobidas[...] 2023-02-11
[85] 웹사이트 線区データ(当社単独では維持することが困難な線区)【根室線(釧路・根室間)】 http://www.jrhokkaid[...] 北海道旅客鉄道
[86] 웹사이트 線区データ(当社単独では維持することが困難な線区)【根室線(富良野・新得間)】 http://www.jrhokkaid[...] 北海道旅客鉄道
[87] 웹사이트 線区データ(当社単独では維持することが困難な線区)【根室線(滝川・富良野間)】 http://www.jrhokkaid[...] 北海道旅客鉄道
[88] 문서
[89] 문서
[90] 문서
[91] 문서
[92] 문서
[93] 문서
[94] 문서
[95] 문서
[96] 문서
[97] 문서
[98] 문서
[99] 뉴스 鉄路を存続させることは断念…」JR根室線の富良野ー新得間 バス転換へ 北海道 https://news.yahoo.c[...] 2022-02-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